Language/JAVA 4

[JAVA] 예외처리

예외란 "실행 중 오동작이나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는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이다. 자바에서는 실행 중 발생하는 에러를 예외로 처리하기로 한다. 표준 API 내에서 모든 예외를 다룰 수 없기에 어플리케이션 예외를 처리해 주어야 한다. 이를 개발자가 직접 정의하여 사용한다 해서 사용자 정의 예외 라고도 한다. 아래 사진은 자바에서의 예외 객체 분류이다. 오류와 예외 오류(Error) : JVM에서 생성되거나 나타나는 예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해야함. 개발자가 미리 예측하여 방지하기 어려움. (ex. 스택 오버플로우 등 메모리 누수) 예외(Exception) : 개발자가 구현한 로직에서 발생한 실수 or 사용자 입력(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것. (ex. "정수를 입력하시오."와 같은 요구사항을 주고 입력을 ..

Language/JAVA 2021.10.17

[JAVA] 상속

자식클래스 extends 부모클래스 "extends"라는 키워드를 사용해 상속함. 예시 public class Animal { String name;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Dog extends Animal { public void sleep() { System.out.println(this.name+" zzz");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g dog = new Dog(); dog.setName("poppy"); System.out.println(dog.name); dog.sleep(); } }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더하여 더 많은 기..

Language/JAVA 2021.02.26

[JAVA] 클래스와 객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클래스 객체 : 자신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식별 가능한것. 객체는 속성과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자바에서 속성은 필드라고 하고 동작은 메소드라고 한다. 객체 간의 관계 1. 집합 관계 : 객체 중 하나는 부품이고 하나는 완성품에 해당한다. 2. 사용 관계 :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3. 상속 관계 : 상위(부모)객체를 기반으로 하위(자식)객체를 생성하는 관계를 말한다. 클래스 자바에서는 설계도가 클래스이다. 클래스에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필드와 메소드가 정의되어있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객체를 표현할때 클래스의 이름과 속성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Student라는 객체를 생성하고 싶다면 학번, 이름, 학년, 전공 등등이 속성이 ..

Language/JAVA 2021.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