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9

[Qiskit] Qiskit과 함께 보는 선형대수학

본 포스팅에서는 Qiskit에서 소개하는 qiskit을 위한 선형대수학과 그 텍스트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기초 수학 지식들을 써둘 생각입니다. 제가 요악하고자 하는 페이지 주소는 (qiskit.org/textbook/ch-appendix/linear_algebra.html)다음과 같고 번역기 이상하거나 과한 요약이 있을경우 위의 주소로 들어가 페이지를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저는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연구생이고 고전컴퓨터 언어에 익숙하며 수학과 물리 모두 B를 받은 전적이 있습니다. 틀린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잘 받아들이고 수정해나가겠습니다. Introduction (들어가기) 선형대수학은 양자컴퓨터의 언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선형대수학의 기본기를 ..

[Qiskit] Qiskit으로 양자컴퓨터 배우기(1)

본 시리즈를 시작하기에 앞서 필자는 소프트웨어융합학과에 재학중인 고전컴퓨터 연구생이고 물리, 수학적 지식이 부족함을 알아두길 바란다. qiskit을 공부하며 흔히들 말하는 삽질을 할 예정이고 삽질 과정에서 얻는 것들을 블로그에 게시하고자 한다. "Learn Quantum Computation using Qiskit"을 읽고 실습하며 어려웠던 것과 유익할만한 정보들을 요약해서 작성하는것을 목적으로 타래를 잇는다. Introduction ibm에서 사용자를 안심 시키는 말을 하고있습니다. 양자 컴퓨터는 원자를 이용해서 하므로 처음에는 어렵지만 그들의 규칙을 이해하면 새롭고 영향력있는 기술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여러분이 미리 알아야 할 것이 있답니다. 테스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bit..

[C 자료구조] 배열이란

배열을 구성하는 것은 5가지가 있다. 배열의 이름, 배열의 크기, 배열에 들어가는 요소의 타입, 배열에 들어가는 요소인 데이터, 요소를 가르키는 인덱스가 있다. int grade[3] 과 같이 배열을 선언하면 정수형 데이터 3개가 저장 될 수 있는 공간이 할당된다. 정수형 데이터는 4바이트를 차지하므로 주소값 4씩 끊어 인덱싱이 되는데 grade[0]과 같이 0부터 인덱싱 된다. 값을 저장할땐 인덱스를 이용해서 저장하는데 grade[0] = 90과 같이 저장하면 미리 할당받은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Language/C C++ 2021.01.20

[C 자료구조] 배열 기반의 리스트 구현 하나로 묶기

배열 기반의 리스트는 생성은 쉬우나 배열의 길이를 처음에 정해야 하기 때문에 크기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ListMain.c #include #include "ArrayList.h" int main(void) { List list; int data; ListInit(&list); LInsert(&list, 11); LInsert(&list, 11); LInsert(&list, 22); LInsert(&list, 22); LInsert(&list, 33); printf("현재 데이터의 수 : %d \n", LCount(&list)); if (LFirst(&list, &data)) { printf("%d ", data); while (LNext(&list, &data)) { printf("%d "..

Language/C C++ 2021.01.19

[IonQ] 양자컴퓨팅 파트너쉽 킥오프 워크샵 후기

성균관대학교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에서 IonQ사와 혐력하여 이온트랩 기반의 양자컴퓨팅 활용을 지원하고자 본 워크샵을 개최하였다고 한다. 2021년 1월 29일 화요일 오전 9시 30분 부터 3시간 가량 진행되어 12시 30분 까지 예정되어있다.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중인 만큼 온라인 Zoom으로 진행되었다. 진행된 강의 순서는 위 사진을 참고하길 바란다. 본 강연 녹화본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겠다고 하니 기다려본다. 입문자에게 어려웠으나 꽤나 유익한 강의였다. +)워크샵이 끝난 후 구글설문지를 작성했는데 연구용 사용만 받아주던 AWS braket를 개인에게도 제공하는 것 같다. 가만히 있을걸 그랬다. 학교에 컨택하지 말고 흑 아무튼 잘 이용하면 좋을 듯 하다.